보건증 인터넷발급

2020. 11. 28. 00:19JUST

반응형

식품 위생 업소나 식품 제조업 등 위생 분야에 종사하는 영업주 및 종업원은 건강진단을 받고 보건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하지만, 따로 시간을 내기도 힘들지만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인해 보건증을 발급하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도 꺼림칙한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보건증이란?

위생 분야에 종사하는 영업주 및 종업원은 식약처와 보건복지부 법령에 따라 보건증을 발급하고 제출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보건증이라고 불렀지만 요즘은 건강검진 진단 결과서로 정식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건강검진 진단은 보건소, 종합병원, 일반병원, 의원 등에서 하실 수 있으며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 1)을 지참하셔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시 검사항목은 장티푸스 검사(분변 검사), 흉부 X-Ray 촬영(결핵 검사), 전문의 진찰로 이루어지며, 보통 2만 원 이상의 비용으로 진행이 됩니다. 하지만, 보건소에서는 조금 더 저렴한 비용에 이용하실 수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보건증 인터넷 발급

건강검진을 받으신 이력이 있으신 분은 공공보건 홈페이지 또는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보건증을 인터넷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 홈페이지는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시거나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손쉽게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G-health 공공보건포털

 

www.g-health.kr

 

공공보건 홈페이지

공공보건 포털 홈페이지에 처음 접속한 모습입니다. 오른쪽에 메인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증명서 발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온라인 제증명 발급시스템 페이지의 모습입니다. 화면을 스크롤하면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를 하셔야 해당 시스템 이용이 가능하니 [동의]와 [확인]에 체크를 합니다.

 

 

제증명 발급 서비스는 발급 안내 이후에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본인인증을 한 다음 제증명을 선택하면 발급이 완료되는 순서입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후 공인인증서, 아이핀, 디지털 원패스, 핸드폰 인증 중 하나를 택하여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저는 컴퓨터에 공인인증서가 저장되어 있는 관계로 공인인증서를 통해서 본인 확인을 진행하였습니다.

 

 

본인 확인 이후에 창이 새롭게 열리면서 제증명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위함이므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선택합니다.

 

 

저는 보건증 발급을 위한 건강검진을 받은 기록이 없어서 데이터가 나오지 않았지만, 건강검진을 받으신 분은 해당 결과가 출력될 것입니다. 보건증을 제출하실 분은 발급 부수와 용도를 정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신청 후에는 프린터 출력이 가능하니 인쇄하신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방법이 궁금하셨던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