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3. 18:41ㆍJUST
연금복권의 1등 당첨 지급액이 세전 기준으로 월 500만 원에서 월 700만 원으로 크게 올랐습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지난 5월 7일부터 '연금복권 720+'의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연금복권 720+는 기존 연금복권 520에 비해 장당 구매 가격은 1,000원으로 동일하지만 당첨금액은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20년간 매월 700만 원씩 받는다는 것은 꽤나 매력적인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를 늘 괴롭히는 것은 세금입니다. 매월 700만 원에 대한 세금이 얼마나 공제되고, 연금복권의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와 함께 연금복권 720+ 1등의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연금복권이란?
대한민국의 복권위원회가 매주 1회 발행하는 추첨식 복권입니다. 다른 복권과의 차이점은 1등 당첨금을 한 번에 지급하지 않고 월 700만 원씩 20년에 걸쳐서 지급한다는 점입니다. 매주 1~5조, 000000~999900까지 90만 장씩 총 630만 장을 발행한 후에 매주 목요일 낮 12시 20에 추첨을 진행합니다.
연금복권 720+의 당첨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위 | 당첨금 | 일치조건 | 매수 |
1 | 월 700만원 (20년간 지급) |
1등 추첨번호와 연속 7자리 모두 일치 시 | 2 |
2 | 월 100만원 (10년간 지급)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6자리 모두 일치 시 | 8 |
3 | 1백만원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5자리 모두 일치 시 | 90 |
4 | 1십만원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4자리 모두 일치 시 | 900 |
5 | 5만원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3자리 모두 일치 시 | 9,000 |
6 | 5천원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2자리 모두 일치 시 | 90,000 |
7 | 1천원 | 1등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1자리 모두 일치 시 | 900,000 |
보너스 | 월 100만원 (10년간 지급) |
보너스 등위 추첨번호와 오른쪽 끝부터 연속 6자리 일치 시 | 10 |
1등과 2등 당첨금이 연금식으로 지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등에 당첨될 경우 20년 동안 월 700만 원을 지급받게 되며, 2등에 당첨될 경우 10년 동안 월 100만 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3등부터는 일시불로 지급받습니다. 당첨금은 가장 높은 등수의 당첨금만 지급되며 지급 기한은 당첨일 다음날로부터 1년입니다.
연금복권 720+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금복권 720+는 1등 당첨금을 매 월 700만 원씩 20년간 연금식으로 지급하여 당첨자의 안정적 생활을 보장합니다. 잔여 당첨금은 당첨자 사망 시에도 민법에 따라 상속됩니다.
- 연금복권 720+의 당첨확률은 1/5,000,000로 로또의 당첨확률(1/8,145,060)에 비해 약 1.6배 높습니다.
- 타 복권의 경우 3억 원을 초과하는 고액 일시불 당첨금에 대해서는 33%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연금복권 720+의 1등 당첨금은 22%의 세율만 적용이 되므로 수령액이 높아집니다.
2. 연금복권 실수령액
연금복권은 월 700만 원씩 20년을 받아 총 16.8억 원을 받게 되는 연금식 복권입니다. 복권 당첨금에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소득세와 주민세가 원천징수되고 남은 금액을 지급받습니다.
당첨금 | 소득세 | 주민세 | 합계 |
5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20% | 2% | 22% |
3억원 초과 | 30% | 3% | 33% |
매월 지급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총지급액에서는 3억 원을 초과하지만 매월을 기준으로 세금을 납부하기 때문에 매월 22%에 해당하는 세금이 원천징수되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연금복권의 세후 실수령액은 매달 546만 원이며, 20년간 총 13억 1,040만 원의 당첨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당첨금을 한꺼번에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세금에 있어서는 다른 복권에 비해 분명히 큰 장점이 있는 부분입니다.
소득세와 주민세가 원천징수된 후 최종 실수령액을 등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등위 | 당첨금 | 실수령액 |
1 | 월 700만원 (20년간) | 월 546만원 (20년간) |
2 | 월 100만원 (10년간) | 월 78만원 (10년간) |
3 | 1백만원 | 78만원 |
4 | 1십만원 | 7만8천원 |
5 | 5만원 | 5만원 |
6 | 5천원 | 5천원 |
7 | 1천원 | 1천원 |
보너스 | 월 100만원 (10년간) | 월 78만원 (10년간) |
3. 연금복권의 장점과 단점
대부분의 복권이 일시 수령형인 것과 달리 연금복권은 일정 기간 지급하는 연금수령형입니다. 그렇다 보니 기존 복권에는 없었던 장점과 단점이 드러납니다.
일단 장점은 목돈을 한꺼번에 수령하는 것이 아니라 매월 대기업 과장급 수준의 월급으로 받는다는 점입니다. 목돈을 받은 후에 잘못된 투자나 사기 등에 휘말려 모두 소진할 가능성이 낮아서 좋습니다. 당첨된 사람들 대부분이 다니던 직장을 다니는 경우가 다수라고 할 정도로 20년 간 그리고 그 이후의 삶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20년간 분할 지급이 되다 보니 물가상승률이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20년이 지나 마지막으로 받는 연금의 경우 546만 원의 가치는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370만 원 정도로 떨어지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새로 출시한 연금복권 720+를 소개하고, 연금복권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길 바랍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